부모님이 연세가 있으셔서 건강 체크 관리를 위해 혈압계를 구입했어요.
'녹십자'라는 브랜드 이름이 신뢰가 가서 구입했어요.
혈압계, 사실 뭐가 좋은지 모르니까요.
일단 도착 후 구성품을 확인하니, 혈압계, 커프, 보관용 파우치, 설명서, 배터리가 들어있었어요.
처음 사용 시에는 그림 위주로 대충 파악을 하고 측정을 해보았어요.
바닥에 앉아서 하는 것보다는 의자에 앉아서 책상 위에 팔을 올리고 하는 게 더 측정이 잘 되는 거 같아요.
병원에서 혈압측정도 그래서 의자에 앉아서 하는 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.
그리고 커프 착용은 왼팔만 가능해요.
이미 경험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
측정 시에는 움직이거나 말을 하면 안 되고 편안한 마음으로 측정을 해야 좀 더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어요.
혈압측정기에 커프와 배터리 전원선을 연결하고 팔에 커프를 착용하고 전원 버튼을 누르면 측정이 돼요.
간단해서 부모님도 어렵지 않게 측정할 수 있었어요.
아직까지 사용하는데 불편한 것은 없어서 만족합니다.
[사용 전 주의사항]
- 최소 측정 5분 전에는 안정을 취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- 커프 착용에 방해가 되는 옷이나 장신구는 측정 전에 제거해야 한다.
- 커프가 팔에 완전히 착용되기 전에는 기기와 연결하지 않는다.
[커프 착용방법]
1. 커프를 고리에서 빼지 않은 채로 사이 공간을 벌려 준다.
2. 왼쪽 팔에 튜브가 손 방향으로 향하게 커브를 착용한다.
3. 커프에 그려진 그림이 팔 안쪽에 위치하게 착용한다.
커프는 팔꿈치 안쪽에서 1.5~2.5cm 떨어진 위치에 착용한다.
손바닥이 천장을 향하게 하고 튜브를 팔의 중앙에 Φ 마크를 팔 안쪽 동맥 위치에 맞춘다.
(팔이 굽는 부분에서 2cm 정도 윗부분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가장 맥박이 강하게 느껴지는 곳이 동맥의 위치)
4. 커프와 팔뚝 사이에 손가락 두 개 정도 공간을 비우고 커프를 착용한다.
5. 기기와 공기튜브를 연결한다.
6. 커프의 높이가 심장과 맞게 팔을 내려놓고 튜브가 꺾이지 않도록 한다.
7. 커프 끝에 그려진 화살표(S/M/L size)가 굵은 선으로 표시된 해당 사이즈 범위 안에 감겨야 한다. 만약 이 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사이즈의 커프를 사용해야 한다.
[적용상의 주의사항]
- 혈압은 사용자의 자세나, 신체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측정 1시간 전엔 운동, 목욕, 흡연, 알코올이나 카페인 등의 섭취를 삼가고 측정 5분 전부터 안정을 취해야 한다.
- 혈압을 측정할 때에는 피곤하거나 지치지 않은 상태여야 하며, 긴장된 상태로는 측정하지 않는다.
- 춥거나 더운 환경에 있었을 경우, 정상 체온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혈압을 측정한다.
- 측정 중에는 말을 하거나 손이나 팔을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.
- 혈압계가 차가운 곳에 있었을 경우 최소 한 시간 동안은 따뜻한 곳에 두었다가 측정한다.
- 측정 후 재측정 시에는 혈관이 돌아올 수 있도록 5분간 기다린 후에 측정한다.
- 위급 시 전원 버튼이나 메모리 버튼을 누르면 작동이 멈추고 바로 배기가 시작된다.
- 혈압은 측정하는 자세, 측정자의 신체 상태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.
- 커프의 압력이 300mmHg보다 높아지면 안전을 위해 신속하게 배기가 시작된다.
- 본 기기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혈압계에서도 발생하는 문제로, 부정맥(심실성/심박 성 기외수축/심방세동), 당뇨, 혈액순환장애, 신장 이상 등을 진단받았거나 뇌졸 중환자 또는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.
- 불규칙 심박음 표시가 자주 나타나면 의사와 상담해볼 것을 권고한다.
혈압기 설명서 참고
정상혈압(성인 기준)
수축기 혈압 정상 참고치 120 mmHg 미만 이완기 혈압 정상 참고치 80 mmHg 미만
수축기 혈압: 심장이 수축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(고혈압 진단에 사용) | |
140mmHg | 고혈압 |
130mmHg | 고혈압 전단계 |
120~129mmHg | 주의혈압 |
이환기 혈압: 혈압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(고혈압 진단에 사용) | |
90mmHg | 고혈압 |
80mmHg | 고혈압 전단계 |
- 고혈압 전 단계로 측정값이 나올 경우 다음날 다시 측정하여 확인한다. (제공 서울대학병원) 참고
저혈압
고혈압과는 달리 저혈압은 어느 정도 이하의 혈압이라고 수치를 나눠서 정할 수는 없으나, 일반적으로 혈압이 100/60 mmHg 이하인 경우를 저혈압이라고 한다.
그리고 누웠다가 일어날 때 수축기 혈압이 20 mmHg, 확장기 혈압이 10 mmHg 이상 떨어지는 경우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한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저혈압에 관한 몇 가지 상식 (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) 참고
'리뷰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 해 우리는 (SBS / 넷플릭스) (0) | 2021.12.12 |
---|---|
[맛집리뷰] 천포/낙지요리 전문점_경기 수원시 장안구 덕영대로511번길 29-15 삼용이네산낙지 (0) | 2021.12.11 |
[상품리뷰] 귓속형 체온계 (보령 A&D 메디칼) (0) | 2021.12.07 |
[상품리뷰] BUTIQLAB PROFESSIONAL BTC-200 (뷰티끄랩 전문가용) (0) | 2021.12.05 |
[맛집리뷰] 버드나무브루어리_강원 강릉시 경강로 1961 (0) | 2021.12.04 |